2013.8.27완료;  유성도서관


다행히도 몇년간 관심을 가졌던 - 정확히는 언제 폭락하는지 궁금해했던 - 주제여서 쉽게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참 좋을 듯 한, 

기본이 충실할 뿐만 아니라 시장 자체에 대한 통찰을 주는 책

다만 2010년을 기준으로 쓰여진 까닭에 2013년 작금의 상황과는 조금 맞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그 차이를 가져온 것이 정부의 정책이라는 측면에서, 단기 부동산 가격의 70~80은 정책이다라는 책 내용에 더 신뢰가 간다. 


부동산 자체가 주거용이 아니라 시세차익을 중심으로 한 투자소득 용으로 변질되어

수요공급, 주변 환경, 정책, 인구, 산업 등의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굉장히 변동성이 큰 재화가 되었으며, 

그러므로 철저히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시장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내가 예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부문을 정리하자면

 - 교외가 아니라 도심에 주거하는 것이 점점 유리한 사회가 되어가고 있고

 - 현재의 트랜드가 급격히 변하지는 않으나 다양성은 증가할 것이라는 점

 - 단기와 중기는 정책과 수급이 좌우하나 장기적으로는 인구변화를 고려해야 하는 점

 - 부동산 중개업 자체의 미래 등등;;


(근데 제목에 미래쇼크는 조금 오바인듯) 


Posted by simonme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