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는 여기
7월 29일 공연.. 혼자 2층 제일 앞줄에서 봤었는데 정말 괜찮았다.
자 하나씩..
지휘자는 멋있는 할아버지
객원지휘 _ 다니엘 라이스킨(Guest Conductor _ Daniel Raiskin)
"다니엘 라이스킨은 예술적 감수성이 풍부하고, 지휘법에 정통한 음악가로 소비에트 연방의 마지막 선물이다!“ -영국 ‘그라모폰’
다니엘 라이스킨은 고전음악부터 생소한 클래식까지 다양한 레퍼토리의 음악을 능숙하게 소화하여 그의 세대 중 가장 다재다능한 지휘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6세가 되던 해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유명 콘서바토리에 입학하여 비올라와 지휘를 공부하였다. 폴란드 우치의 아서 루빈스타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를 역임하였으며, 2005년부터 독일 코블렌츠 슈트츠오케스터 라이니쎄 필하모니의 상임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쥴리안 스테켈과 녹음한 코른골드, 블로흐와 골드슈미트의 첼로 협주곡(AVI 뮤직)은 2012년에 에효 클라식 어워드에서 수상을 하였으며, 최근 발매한 브람스 교향곡 전곡(투 피아니스트 레이블)과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4번(AVI뮤직)은 평론가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첫번째
쇼스타코비치 _ 축전 서곡, 작품 96 (Shostakovich(1906-1975) _ Festive Overture, Op. 96)
이 곡은 잘 모르는 곡이었지만 10분 내외의 경쾌한 곡이었다.
러시아 느낌이 물씬 나면서 가볍게 잘 짜여진 훌륭한 오버추어
시작부터 기분 좋았음
두번째는 후후후
차이콥스키 _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 35(P. I. Tchaikovsky(1840~1893) _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Ⅰ. Allegro moderatom - Candenza
Ⅱ. Canzonetta – Andante
Ⅲ. Finale (Allegro vivacissimo)
내가 너무나 좋아하는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35
줄리아 피셔가 연주하는 걸 듣고 완전 반한 바로 그곡
아 줄리아 피셔 사마 @_@
이번에 연주자는
바이올린 _ 데이비드 할렌(Violin _ David Halen)
데이비드 할렌은 센트럴 미주리 주립대학에서 일리노이 어바나-샴페인 대학에서 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학사 졸업한 해에 음악교사협회 콩쿠르 우승과 최연소 수상자로 독일 프라이부르크음대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으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아스펜 음악 페스티벌에서 악장으로 활동하며 학생들을 지도하고, 예일 대학과 머서 대학의 뉴 로버트 맥더피 센터의 ‘유명 객원 연주자’로 초청되어 활동 중이다. 또한, 인스브룩 연구소의 공동 설립자 및 예술감독으로서 페스티벌을 기획하고, 미주리 리버 예술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다양한 공로를 인정받아 세인트 루이스 예술 엔터테인먼트 상을, 센트럴 미주리 주립대학과 미주리-세인트 루이스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세인트 루이스 심포니의 악장이자 미시건대학교의 바이올린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사람이었는데..
나이들고 배나온 할아버지?가 나와서 와 ~ 박력있는 연주 기대할께요 했지만 완전 반전
너무나 여리고 섬세하게 살짝 살짝 연주를 하는 것이었다. @_@
사실 줄리아 피셔 연주가 정말 힘있고 화려하였기에 이번 연주도 그럴줄 알았지만
전혀 다른 느낌에 깜짝 놀랐다.
이렇게 마음을 어루만지는 연주였구나 하는 생각에 조금 눈물
인터미션 후 마지막은 대망의 전람회의 그림 ㄷㄷ
2007년도에 공연으로 보고 완전 반한 바로 그 연주
무소로브스키 작곡 라벨 편곡의 바로 그 작품
이번에 보니 예전보다 훨씬 더 대편성으로 보여서 사실 좀 좋았다
하프2개, 거대한 드럼, 드럼, 북, 그리고 커다란 금관악기에 끼우는 것까지
좋았다. 강하고 화려하게 그렇지만 유연하고 부드러운 연주였다.
사실 전람회의 그림의 곡들 하나하나가 이렇게 재미있는줄 몰랐었다.
매번 promade와 마지막 키에프의 대문 정도만 즐겨들었지만
중간에 나오는 곡들이 얼마나 느낌을 잘 표현하는지,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promade가 얼마나 다채로운지
이번 공연을 듣고서야 조금 느낌이 왔다.
promade를 가지고 variation하는 느낌 그리고 동일 주제로 마지막에 코아~ 쾅~ 쾅 쾅쾅쾅 쾅쾅쾅쾅 쾅 쾅 할때 @_@
캐감동 캐감동
도윤이 크면 꼭 데려와야징
'感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2016년 8월 4주차(8.22~8.28)의 독서 (0) | 2016.08.22 |
---|---|
[책] 2016년 8월 3주차(8.14~8.21)의 독서 (0) | 2016.08.21 |
[책] 2016년 8월 1주차(8.1~8.7)의 독서 (0) | 2016.08.02 |
[책] 2016년 7월 4주차(7.25~7.31)의 독서 (0) | 2016.07.25 |
[책] 2016년 7월 3주차(7.18~7.24)의 독서 (0) | 2016.07.18 |